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수학에서는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는 소수를 찾는 방법이다.
체. 걸러내는 이미지가 있다. 계속 걸러내서 소수를 찾는 방법이다.
자. 이렇게 걸러서 흰색 배경 숫자들이 소수가 된다.
그러면 100까지 소수는 2, 3, 5, 7, 11, 13, 17, 19, 23, 29, 31, 37, 41, 43, 47, 53, 59, 61, 67, 71, 73, 79, 83, 89, 97이 된다.
자. 여기에서 의문점이 들 수 있다. 왜 11, 13은 확인 안하는가?
한번 넣어보자. 11 * 2 / 11 * 3 / ... / 11 * 9 -> 전부 색이 이미 칠해져 있다. 이유는 알 것이다. 2, 3, 5, 7을 지우면서 이미 다 지웠던 숫자들이다. 그러니까 소수를 판별할 때 11 * 11부터 색을 칠하면 되는 것이다. 하지만 11 * 11은 100을 넘어가기 때문에 따로 지울 필요는 없다.
이 방식을 이용하여 소수를 판별할 수 있다.
이 알고리즘과 관련한 간단한 문제를 풀어보자.
https://www.acmicpc.net/problem/1978
1978번: 소수 찾기
첫 줄에 수의 개수 N이 주어진다. N은 100이하이다. 다음으로 N개의 수가 주어지는데 수는 1,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www.acmicpc.net
728x90
반응형
'코딩 씹어먹기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배낭문제 (1) | 2022.10.08 |
---|---|
[알고리즘] LIS 알고리즘 (0) | 2022.10.04 |
[알고리즘] manber myers (0) | 2022.09.15 |
[알고리즘] 백트래킹 (0) | 2022.09.01 |
[알고리즘] 비트마스킹 (0) | 2022.07.02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bits/stdc++.h
- 트리보나치
- Witcher3
- SCC 알고리즘
- writeInt
- portal1
- deque와 vector의 차이
- 좌표 압축 알고리즘
- 해시맵
- readInt
- 플로이드-워셜
- tsp알고리즘
- fread
- scanf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 ios::sync_with_stdio(false)
- unistd.h
- 큰 수 계산
- 확장 유클리드
- Set
- list
- writeString
- manber myers
- 비트마스킹
- cin.tie(nullptr);
- readString
- 분할정복
- 피보나치
- 행렬 멱법
- fastIo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